[후기 중세 국어]


1443(세종) : 훈민정음 창제(세종 solo)


1443년, 세종 25년 12월 30일 - 훈민정음을 창제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da_12512030_002

* 훈민정음: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 예의(어제 서문) : 세종(창제 취지 등)
- 해례(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 서(정인지) : 제작 경위, 창제 이유, 편찬 시기 설명 등


* 1940년 안동에서 발견(안동본) / 현 간송 미술관 보관 / 국보 제70호 / 유네스코 기록 유산
* 1940년 해례가 발견되기 전까지 훈민정음 창제 원리는 베일에 싸임 (문창호설 등)

* 2008년 훈민정음 해례 상주본 발견(배익기, 논란...)


* 2019년 7월 15일 - 대법 "훈민정음 상주본, 문화재청 소유"...배익기 "10분의 1은 줘야" / YTN



1446(세종) : 훈민정음 반포


1446년, 세종 28년 9월 29일 -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 어제와 예조 판서 정인지의 서문
http://sillok.history.go.kr/id/kda_12809029_004


1447(세종) : 석보상절, 용비어천가


1447? 1448?(세종) : 월인천강지곡(상.중.하, 현재 상권만 전함)

1448(세종) : 동국정운(표준음에 관한 책)

1459(세조) : 훈민정음 언해(세종이 적은 훈민정음 어제.서문+예의 부분 한글로 풀이) / 월인석보(세종어제훈민정음) 나랏말싸미 듕귁~


1481(성종) : 분류두공부시언해 초간본

1511(중종) : 설공찬전(채수, 한문 소설을 한글로 번역한 최초 소설)


1527(중종) : 훈몽자회(최세진, 한자의 음과 뜻을 훈민정음으로 표기) / 처음으로 자모 순서 제시(초성, 중성, 종성)


1586(선조) : 소학언해(주자의 소학을 한글로 풀어 씀)



[근대 국어]


1612(광해) : 홍길동전(허균, 최초 한글 소설)


허균, 홍길동전 논란 - "한글 홍길동전은 18세기 후반에 나온 작자 미상 소설"


400년전 한문 홍길동전 발견…"허균은 한글소설과 무관"

http://m.mk.co.kr/news/culture/2019/254316/


이윤석 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지소(芝所) 황일호(1588∼1641)가 쓴 홍길동 일대기인 ‘노혁전’(盧革傳)을 ‘지소선생문집’에서 찾았다고 24일 밝혔다.


1617(광해) :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632(인조) : 분류두공부시언해 중간본


1750(영조) : 훈민정음 운해(신경준, 음운 연구서)


1877(고종) : 최초 한글 띄어쓰기 사용, 영국 목사 존 로스(John Ross)의 조선어 첫걸음(Corean Primer)


* 참고 → 최초의 한글 띄어쓰기, 영국 목사 존 로스 처음 사용 '조선어 첫걸음'




refer to: Corean Primer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co.kr/books?id=CVKAFhcXWr0C&dq=Corean+Primer&hl=ko&source=gbs_navlinks_s


→ Archive : https://archive.org/details/coreanprimerbei01rossgoog/page/n6



1896.4.7(고종) : 독립신문(띄어쓰기 도입~) 창간: 근대 국어


* 띄어쓰기가 출현한 지는 약 120여 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띄어쓰기는 어려움.(나만 그런가? @_@)


* 띄어쓰기 + 점찍기 도입 = 호머 헐버트, 주시경


* 참고 → 2008년 계리직 한국사 헤이그 특사 문제

1896.5(고종) : 국문동식회(주시경, 독립신문사 내 설치)


1897(고종) : 국문정리(이봉운, 국어 연구서)



[현대 국어]


1902? - 조선문전(유길준, 최초 문법서 - 8품사 설정: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후사(조사), 접속사, 감탄사)


1905 - 신정국문(지석영, 대한제국의 국문개혁안: 국문 표기법 정립)


1907 - 학부 내 국문연구소 설립(헐버트, 주시경, 지석영)


참고 → 1907년 대한제국 흐름 끄적거리기


* 1909.07 자전석요(지석영, 우리나라 최초 한자 사전: 한자를 국어로 풀이)


* 학부: 대한제국 시절 관청임. / 학무아문(1894)이 학부(1895~1910)로 개칭

* 국민소학독본(1895.7) - 학부에서 발행한 소학교 교과서


1908 - 대한문전(최광옥X 유길준O, 문법서) 


1908 - 국어연구학회(회장: 김정진, 주시경)


* 국어연구학회 산하 국어강습소(1909) 운영


1909 - 대한문전(유길준)


대한문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998


안악면학회(安岳勉學會)에서 발행하였다. 1908년 1월 초판이 나왔고, 그 해 6월 재판이 나왔다. 종래 이 책의 저자를 최광옥(崔光玉)이라 하여 유길준(兪吉濬)의 『대한문전』(1909)과 다른 종류의 책으로 알려져왔으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여 두 책 모두 유길준의 저서인 것으로 밝혀졌다.


두 종류의 『대한문전』은 모두 일본에서 유길준에 의하여 저술되었으며, 그의 제4차 원고본이 최광옥의 이름으로 출간된 『대한문전』이고, 제8차 원고본이자 마지막 완정본(完定本)이 곧 1909년 유길준 저술로 출간된 『대한문전』이다.



1910 - 국어문법(주시경, 문법서)


1910 - 훈민정음 → 한나라말, 한나라글


1911 - 말모이(주시경, 국어사전: 출판X)


1911 - 조선언문회(배달말글몯음)


* 국어연구학회 → 조선언문회(배달말글몯음)

* 조선언문회(배달말글몯음) 산하 조선어강습원(국어연구학회 산하 국어강습소 개칭)

1912? - 소리갈(주시경, 중등 교재)


1913 - 조선문법(남궁억)


1913 - 한글모(회장: 주시경)


* 조선언문회(배달말글몯음) → 한글모

* 조선어강습원(한글배곧) 개칭

* 한나라말, 한나라글 → 한글


1914 - 말의소리(주시경, 문법서)


1914 - 주시경 선생님 작고로 인하여 말모이(사전) 편찬 중단


* 주시경 선생님 작고(1876.12.22 ~ 1914.07.27) / 향년 39세


1916.04 - 조선말본(김두봉, 조선어 사전, 스승인 주시경 선생의 못다한 사전편찬 업무 계승)


1917 - 조선문법(안확)


1918 - 계명구락부 조직(최남선, 박승빈: 조선어 연구회 모체)


1919.04 - 김두봉, 말모이 사전 원고 일부 들고 상해로 망명


1920 - 조선어사전(총독부 발행, 조선말을 일어로 해석)



[조선어 연구회(1907 국문연구소 계승)]


1921 - 조선어 연구회(한글모 → 조선어 연구회: 임경재, 최두선, 이승규)


1922 - 깁더조선말본(김두봉, 1916년 조선말본 업그레이드, 상해에서)


1923.04 - 수정조선문법(안확)


1926 - 가갸날 제정(양: 1926.11.04일, 음: 1926.09.29일 훈민정음 창제 460돌)


1927.6 - 계명구락부 내 조선어사전 편집부 설립(최남선 주도: 말모이 원고를 메인으로... 1929년 중단)


1927 - <한글> 기관지 발행


1928.03.25 - 동아일보(글장님 없애기 → 문맹 퇴치 운동 무산)


1928.03.29 - 총독부: 문맹 퇴치 운동 금지령


1928 - 가갸날 → 한글날 명칭 변경


1929.04 - 이극로, 조선어 연구회 가입 및 활동


1929.07 - 안재홍(조선일보 부사장) : 문자보급운동("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 귀향남녀학생 문자보급운동)

 

1929.10.31 - 조선어사전편찬회 조직(108명 발기 이극로, 장지영 등) → 표준이 없어서 난항


위원장 이극로, 상무 이중건(경리), 이극로(편집), 최현배(연구), 신명균(조사), 정인보(교양), 이윤재(출판).


[조선어 학회(1921 조선어 연구회 계승)]


1931.01.10 - 조선어 학회 발족(조선어 연구회 → 조선어 학회)


1931.01.14 - 외래어 표기법 통일문제협의회 조직


1931.07 - 브나로드 운동(동아일보 후원, 농촌계몽 “힘써 배우자! 아는 것이 힘이다!”“배우자! 가르치자! 다 함께 브나로드!” → 문맹퇴치와 한글보급)


1931.07.25 - 문맹타파가 (전체 11절)



귀 있고도 못 들으면 귀머거리요
입 가지고 말 못하면 벙어리라지
눈 뜨고도 못 보는 글의 소경은
소경에다 귀머거리 또 벙어리라


듣는 대신 보란 글을 보도 못하니
귀머거리 이 아니고 그 무엇이며
말하듯이 써 낼 글을 쓰도 못하니
벙어리가 이 아니고 그 무엇이뇨


남과 같은 눈과 귀 입 다 가지고서
한평생 이 설음을 어찌 받으랴
알기 쉬운 우리글은 맘만 있으면
아무리한 둔채라도 다 깨치리라


낫 놓고 「ㄱ」자를 누가 모르리
창앳등 「ㄴ」은 절로 알리라
자 들고 세로 재면 「ㅣ」자가 되고
홍두깨 가로 노면 「ㅡ」자가 되네


질맛가지 「ㅅ」에 코뚜래 「ㅇ」
지겟다리 「ㅠ」자를 뒤집음 「ㅛ」자
고무래 쥐고 보니 「ㅜ」자가 되고
거꾸로 놓고 보니 다시 「ㅗ」잘세


세발 가진 소시랑을 「ㅌ」자라면
자루 빠진 연감개는 「ㅍ」되리라
「ㅋ」은 두발 가진 모지랑 갈퀴
허리 동인 쪽짐개는 「ㅂ」이라군


팔 다리 벌이고 선 「ㅊ」 보아라
뱀처럼 몸을 서린 「ㄹ」도 있네
축량판 벌여 노니 「ㅈ」자로세
동이 우에 솥뚜에는 「ㅎ」 아닌가


꺾쇠는 「ㄷ」인데 모말은 「ㅁ」
문고린가 가락찐가 「ㅇ」자로세
눈에 띠는 물건마다 글자로 뵈니
아무리 잊으려도 잊히지 않네


낫처럼 생긴 「ㄱ」 지겟다리 「ㅏ」
가로 맞훠 놓으면 가」자가 되고
모말 같은 「ㅁ」을 그 밑에 대면
새빨간 먹기 좋은 「감」자가 된다


꺾쇠 같은 「ㄷ」과 광명두 「ㅗ」를
우아래로 이어 노니 「도」자가 아닌가
창앳등 「ㄴ」을 또 이어 놔라
죽을 놈도 살려내는 「돈」이란 자다

十一
이와 같이 이리저리 둘리 맞후면
입으로 하는 말은 못 쓸것 없네
하루 한자 이을 두자 새새틈틈이
이리구로 익혀가면 내중 다 일리

1933.10.29 - 한글마춤법통일안 발표(30항 '사이ㅅ(사이시옷)' 제시: 뒷간, 곳집 등, 61항 '띄어쓰기' 가면서 노래한다. 등 )


1934 - 조선어 표준어 사정 위원회 설치


1936 - 조선어 표준어 사정안 발표: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1936.10 - 조선어 학회,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의 사전 편찬 업무 인수


1938 - 조선어사전(문세영, 근화학교 교사)


1937 - 한글 마춤법 통일안(표준어 사정안 수정) 발표


1940 - 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30항 '사이ㅅ(사이시옷)' 개선 : 뒤ㅅ간, 고ㅅ집 등) / 마춤법 → 맞춤법) 발표

1940 - 조선말 대사전, 총독부 도서과 출판 허가(그러나 대부분 삭제) 


1941 -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발표


1942.04 - 조선말 대사전 편찬 막바지(대동출판사 조판 예정,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편찬 실패)


어떻 해서든지 조선어 사전을 완성하여 내놓아 이것이 어느 구석에 박혔다가 후일 때가 돌아오는 날 민족의 말을 되살리는 계기가 되게 해야지 렇지 않으면 우리말과 조선의 혼은 영원히 말살되고 마는 운명에 이를지도 모를 일이니 끝까지 고생을 참고 일할 수밖에 없다. -이극로-


1942.10 - 조선어 학회 사건(총독부 33명 검거, 사전 원고 압수 등 → 출판 중단)



[1945.08.15 광복]


1945.09.08 - 조선말 대사전 원고 서울역 창고(조선통운)에서 발견 → 다시 사전 편찬 착수

1946 - 한글 맞춤법 통일안(부분 개정 : '사이ㅅ' 선행 어근 받침이 있을 시 'ㅅ' 받침 금지)


1947 - 표준 조선말 사전(이윤재)


1947 - 조선말 큰사전 1권 간행

1949 - 조선말 큰사전 2권 간행


[한글 학회(1931 조선어 학회 개칭)]


1949.9 - 한글 학회(조선어 학회에서 → 한글 학회로 개칭)


[한국 전쟁 발발 (조선말 큰사전 간행 중단)]


1953.04.27 - 한글 간소화 파동(1955.09.19 철회)


1957.10.09 - 조선말 큰사전 6권 간행(28년만에 총6권 편찬 사업 종료)

1961.11.00 - 국어대사전(이희승) / 한국 부모님 댁에 이희승 박사님 국어 대사전이 있더군요. ㄷㄷㄷ





1988.01.19 - 한글 맞춤법 확정(문교부)


1989.03.01 - 한글 맞춤법 시행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